
(사진 설명 : ‘위기의 양봉산업’ 해법 모색을 위한 충남도의회 의정토론회가 9일 공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충남도의회(c))
충남도의회가 꿀벌 집단 폐사로 위기에 처한 충남 양봉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9일 공주시 농업기술센터 농업전시관에서 ‘위기의 충남양봉산업, 지속가능한 상생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의정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박미옥 의원(비례‧국민의힘)이 좌장을 맡고, 이만영 한국양봉학회 고문이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토론에는 충남도 동물방역위생과 조수일 과장, 산림자원과 고대열 과장, 산업곤충연구소 남명현 소장, 한국양봉협회 충남지회 강재선 회장, 축산신문 전우중 취재부장이 참여해 다양한 해법을 제시했다.

올해 봄 충남에서는 양봉농가의 약 30%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전체 2,442농가 중 1,081호가, 총 24만 군 중 약 7만 군이 폐사했다. 특히 공주시는 447농가 중 230호가 피해를 입어, 피해율이 60%에 달하며 도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박미옥 의원은 “급격한 기후 변화, 병해충과 질병 등 꿀벌 소실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해 양봉농가의 소득 안정과 생태계 보전을 도모하고자 한다”며 토론회 취지를 밝혔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만영 한국양봉학회 고문은 “양봉은 산림 생태계와 농업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그 경제적 가치는 약 5.9조 원에 달한다”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봉군 관리, 밀원식물 확대, 여왕벌 보급 등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수일 충남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꿀벌 폐사의 주요 원인은 이상기후, 응애와 진드기 감염, 농약 및 살충제, 질병, 밀원수 부족”이라며 “스마트 벌통 보급과 병해충 예방 대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고대열 산림자원과 과장은 “2027년까지 약 5,484㏊ 규모의 밀원숲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지역 특색과 산주(山主)의 희망 수종을 반영해 공유림 중심으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남명현 산업곤충연구소장은 “공주와 보령 삽시도에 꿀벌자원육성지원센터를 조성하고, ICT 및 AI 기반 스마트벌통 보급 등 첨단 기술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강재선 한국양봉협회 충남지회장은 “종봉입식자금과 소독약제 지원, 양봉 필수시설 보급 외에도 식목 행사에서 30% 이상 밀원수를 식재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우중 부장은 “양봉산업은 그간 생산 비중이 작다는 이유로 정부 지원에서 소외됐다”며 “꿀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재평가와 정부 차원의 투자 확대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토론회를 마무리하며 박미옥 의원은 “꿀벌은 단순한 꿀 생산자가 아니라 농업과 생태계의 핵심 동반자로 충남 양봉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다각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공주뉴스=최용락 기자)